Learn

[논문리뷰] 하버드생은 어떤 식으로 논문을 읽는가?

부루기 2024. 6. 27. 15:27
728x90

연구 논문을 읽는 방법

이 내용은 하버드 알고리즘 수업( https://www.eecs.harvard.edu/~michaelm/CS222/syllabus.html )의 일부분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번 학기 후반부에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우선, 연구 논문을 읽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이 논의는 논문을 주의 깊게 읽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는 전제하에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과제로 논문이 주어졌다면 이는 읽어야 할 충분한 이유입니다. 또한, 논문을 검토해야 하거나, 자신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면 주의 깊게 읽어야 합니다. 나중에는 논문을 대충 훑어보는 방법도 논의할 것입니다.
  • 역시 초반에는 왜 논문을 보는 지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시작합니다. 이후 총 5가지의 가이드를 설명하면서 내용을 진행합니다.
1. 비판적으로 읽기: 연구 논문을 읽는 과정은 비판적인 과정이어야 합니다. 저자들이 항상 옳다고 가정해서는 안 됩니다. 대신 의심을 가지고 읽어야 합니다. 적절한 질문을 해야 합니다. 저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면, 그들은 올바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일까요? 간과된 간단한 해결책이 있나요? 해결책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 처음부터 쉽지 않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설명했지만 명망있는 교수님들이 쓴 논문에 옳다는 가정없이 고려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제는 언제까지나 학생으로 받아들인다면 발전이 없는 것을 몸소 경험한 덕에 학생이 아닌 한명의 연구자로써 평가할 수 있어야 함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일단 박죠?
2. 창의적으로 읽기: 비판적으로 읽는 것은 쉬운 편입니다. 창의적으로 읽는 것은 더 어렵고 긍정적인 사고를 요구합니다. 이 논문에서 좋은 아이디어는 무엇인가요? 이 아이디어는 다른 응용이나 확장이 가능한가요? 추가적인 개선점이 있을까요?
  • 여기서 말하기로 까는 건 쉽습니다. 다만 까고 나서 어떤 식으로 발전시킬 해결점을 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것 자체로 하나의 논문이 나올 수 있을테니... 다만 다양하게 시도해보라는 점이 눈에 띕니다.

그래서 깐 건 좋은데 어쩌라고

3. 메모하기: 논문을 읽으면서 메모를 남기세요. 질문이나 비판이 있으면 적어두세요. 중요한 점이나 의문이 드는 데이터를 표시하세요. 이러한 노력은 논문을 처음 읽을 때 도움이 되고, 몇 달 후 다시 읽을 때 큰 도움이 됩니다.
  • 이 점에 관해서 말하고 싶은 게, 메모를 원래 탭으로 필기하고 노트북 등 디지털로 옮기고자 했습니다. 특히 책등을 공부할 때, 도서관의 책에 필기를 할 수 없기에 그렇게 진행했는데, 이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손필기가 훨씬 공부가 잘 되는 기분입니다. 저도 디지털 문명시대에 왜 종이를 뽑고 그걸 쓰냐라고 하고 싶은 사람이지만 하루정일 디지털만 보니 집중이 산만해지고 안되는 기분이 많이 듭니다.
  • 하지만 완전 종이만을 쓸 수는 없으니 어느정도 절충안을 찾아서 필기를 직접할 수 없는 책은 디지털로, 종이로 출력이 가능한 형태라면 최대한 뽑아서 공부하는 식으로 방도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 혹시나 이에 대해서 좋은 방법들이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 첫 번째 읽기 후 요약하기: 논문을 한두 문장으로 요약해보세요. 대부분의 좋은 연구 논문은 특정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려고 합니다. 논문을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면, 저자들이 시작한 질문과 제공한 답을 인식한 것입니다.
  • 제가 생각하기에 이 글의 포인트가 아닐까 싶습니다. 글을 한두 문장으로 요약하라! 저 같은 경우는 논문을 대강 읽고 하나로 요약, 세부적으로 읽을 때는 문단 별로 요약을 하는 방식으로 하고 나중에 묶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 아직 많은 논문을 읽어보지 않아서 논문 읽는 법에 수정이 필요하겠지만 다른 분들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면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5. 다른 작업과 비교하기: 논문을 요약하는 것은 논문의 과학적 기여를 파악하는 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실제 과학적 가치를 평가하려면 해당 분야의 다른 작업과 비교해야 합니다.
  • 이것은 다른 방식으로 논문을 바라보라는 것인데 쉽지 않은 일임은 확실합니다. 다른 분야의 논문도 읽고 적용해보라니... 저 같은 경우는 다른 분야의 논문을 읽을 정도는 되지 않으니 간단히 다른 분야에 대해서 넓고 얕은 지식을 알 수 있는 서적을 참고해서 읽어보곤 합니다.
  • 저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는 다른 행동이나 새로운 경험을 통해서 얻는 insight가 분명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공부가 막히거나 어려운 점이 있다면 운동을 하던 산책을 나가던 요리를 하던 다양한 방법으로 돌아다니는 것을 추천해봅니다.

이렇게 해서 글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원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페이퍼는 과제를 위한 안내서입니다. 이후 학생들에게 논문 하나를 요약해오라고 하는데 혹시 추가로 보고 싶으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사항

1. https://www.eecs.harvard.edu/~michaelm/CS222/ReadPaper.pdf

2. Harvard 알고리즘 수업 CS222 https://www.eecs.harvard.edu/~michaelm/CS222/syllabus.html

 

CS 222

Paper summaries (15%): You will also have to regularly turn in paper summaries in a form to be discussed for papers that we read during the semester. This year, I hope to use a discussion board format, where people will post their summaries and then commen

www.eecs.harvard.edu

728x90